이번주 주식시장이 아주 좋습니다. 반응이 올 종목들이 바로바로 반응이 오네요.
특히, 과세전쟁의 시작을 알리는 ‘희토류’ 관련 종목들이 뜨겁게 움직입니다.
<희토류 관련주 중 하나인 티플랙스>
이 모든 중심에는 트럼프 2기의 관세부과가 중심에 있습니다.
이전에는 중국이 관세부과 대상의 중심에 있던 느낌이었는데, 이번에는 캐나나 및 멕시코부터 바로 때리려는 느낌이었죠. (물론 1달 유예를 한 상태이긴 합니다.)
오늘은 지금의 관세 전쟁이 어쩌면 호재가 될 수 있는 종목을 찾아보았습니다.
오늘도 즐거운 시간 되시기 바랍니다.
1. 알멕은 어떤 회사인가?
1.1 전기차 핵심 부품 공급
- 배터리 모듈/팩 케이스: LG에너지솔루션, SK온 등에 공급하며 국내 시장점유율 1위
- EV 플랫폼 프레임: 리비안(Rivian), 루시드(Lucid), GM 등 글로벌 완성차 업체에 납품
- 충격흡수 부품: Crash Alloy 기술 적용(메르세데스-벤츠 등)
1.2 기술 경쟁력
- Crash Alloy 2.0: 충격 흡수율 향상(2025년 상용화 예정)
- 수직계열화 시스템: 주조→압출→가공→조립 일관 공정으로 원가 효율성 극대화
2. 관세 면제 확정 배경
알멕은 2024년 5월 3일 미 상무부 반덤핑 예비판정에서 관세율 0%를 획득했으며, 2024년 9월 30일 최종 판정에서도 동일한 혜택을 확정받았습니다. 이는 미국 정부가 중국산 알루미늄에 376.85%, 멕시코산에 82.03%의 고율 관세를 부과한 것과 대조적입니다.
관세 면제 핵심 요인
- 한·미 FTA 협정: 한국산 알루미늄은 무관세 적용 대상
- 공정 가격 경쟁력: 정상가격 대비 덤핑 마진 0%로 인정
- 기술 검증: Crash Alloy 기술 등 혁신성으로 미국 고객사 신뢰 확보
- Crach Alloy: 충돌 시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흡수하도록 설계된 특수 알루미늄 합금입니다. 자동차의 충돌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개발되었으며, 주로 알루미늄 6xxx 계열(Al-Mg-Si) 소재가 사용됩니다. 이는 기존 강철대비 2배 이상의 충격흡수 효율을 갖고있으며, 경량화 및 예측가능한 변형에 유리한 측면이 있습니다.
3. 트럼프 2기 시대의 경쟁력은?
3.1 관세 장벽 우회 전략
- 미국 현지 생산: 앨라배마주 공장(2026년 완공 예정)에서 연간 1.5만 톤 생산 예정
- 재생 알루미늄 활용: EU CBAM 대응을 위해 재생 소재 비중 45% 달성(2030년 목표)
3.2 주요 고객사 다변화
- 북미 시장(55% 매출): 리비안, 루시드, GM 등과 장기 공급계약
- 신규 수주: 2024년 12월 미국 A사(추정 ‘테슬라’로 추정)와 2,500억 원 규모 NDA 체결
3.3 기술적 강점
- 충격흡수 소재(Crash Alloy): UL 인증 획득, 메르세데스-벤츠 등 적용
- 벤츠 EQS에 적용되었다는 썰이 있는 것 같은데, 아무리 찾아봐도 해당사실을 정확히 언급한 내용은 확인이 어렵네요. 아래의 ‘예정’ 정보가 가장 세부적인 내용으로 판단 됩니다.

- 수직계열화 생산: 주조→압출→가공→조립 일관 시스템으로 원가 15% 절감
4. 트럼프-미국 관세가 미치는 영향
4.1 경쟁사 대비 우위
구분 | 알멕(한국) | 중국 업체 | 멕시코 업체 |
---|---|---|---|
관세율 | 0% | 376.85% | 82.03% |
가격 경쟁력 | 35%↑ | 경쟁력 상실 | 20%↓ |
주요 고객 | 리비안, GM | 中 완성차 | 美 2차 공급사 |
4.2 실적 전망
- 2025년 매출: 2,430억 원(+51.5% YoY), 영업이익 104억 원(흑자전)
- 수주잔고: 2024년 9월 기준 7,800억 원 → 2025년 1.2조 원 돌파 예상
5. 리스크는 없을까?
5.1 리스크 요인(장기투자 할 것은 아니지만.. 이야기 해보자면)
- 고객 집중도: 상위 3개사 매출 비중 약 65%추정
- 원자재 변동성: LME 알루미늄 가격 10% 상승 시 영업이익률 3%p 하락 추정
5.2 대응 방안
- 헤징 프로그램: 2025년 생산량의 60% 선물 계약 체결[40].
- 신규 시장 진출: BMW Neue Klasse 플랫폼, BYD 해외 모델 공급 검토[40].
6. 증권사 평가 및 목표주가
증권사 | 목표주가 | 근거 |
---|---|---|
KB증권 | 68,000원 | “A사 수주로 2025년 EPS 2,850원 전망” |
NH투자증권 | 63,000원 | “북미 공장 증설 효과 2026년 본격화” |
미래에셋증권 | 60,000원 | “EV 플랫폼 시장점유율 15% 달성 가능” |

<’25년 2월 5일, 금일 종가 25,950>
그래서 결론!
- 관세 면제 확실성: 한·미 FTA 및 무혐의 판정으로 美 시장 안정적 진출
- EV 시장 성장 견인: 2030년 글로벌 전기차 알루미늄 부품 시장 42조 원 규모 전망
- 기술 선점: Crash Alloy 2.0 개발로 2025년 A사 모델 적용 예정
즉, 단기 변동성 즐기기에 적절할 수 있으며, 물린다면…? 2026년 美 앨라배마 공장 가동 본격화 시점에 대비한 장기 보유..?!
Citation
- 알멕 美 반덤핑 최종판정 0% 확정
- 트럼프 對中 관세 10% 추가 발표
- 알멕-루시드 2,064억 원 계약 체결
- 앨라배마 공장 투자 계획
- 트럼프 관세 대응 전략 세미나 발표 자료
- 알멕, 트럼프 관세 대응 생산 거점 확대
- 트럼프 관세, 한국 중소기업에 미치는 영향
- 트럼프 관세 발표 후 글로벌 주식 시장 반응
- 알멕 주가, 트럼프 관세 대응 기대감 상승
- 트럼프 관세에 따른 환율 변동성 전망
- 트럼프 관세, 美 내 제조업 회귀 효과 분석
- 트럼프 2기 정책, 한·미 FTA 재협상 가능성
- 알멕, 美 반덤핑 최종판정 0% 확정
- 트럼프 관세, 글로벌 인플레이션 우려
- 트럼프 관세 유예에 따른 시장 반응
- 앨라배마 공장 투자 계획 공시
- EU, 트럼프 관세 대응을 위한 공동 대책 논의
- 알멕, 2025년 북미 시장 공략 전략
- 알멕, 사천공장 증설 완료 공시
- 트럼프 관세 유예 협상 타결 가능성
- 트럼프 관세, 美 소비자 물가 상승 우려
- 알멕 기술 경쟁력 분석 보고서
- 알멕-美 A사 NDA 체결 소식
- 트럼프, 캐나다·멕시코·중국에 관세 전면 부과
- 트럼프 관세, 글로벌 에너지 시장 영향 분석
- 멕시코·캐나다 공장 어쩌나…트럼프 관세 폭탄에 글로벌 기업 당혹
- 트럼프 관세에 따른 글로벌 물류 대응 전략
- 트럼프 관세, 한·미 무역 관계 전망
- 트럼프 관세, 中 경제에 미칠 영향 분석
- 트럼프 관세, 글로벌 기업들의 대응 사례
- 트럼프 관세, 반도체 산업 공급망 재편 전망
- 트럼프 관세에 따른 아시아 국가별 대응 전략
- 트럼프 관세, 美 내 제조업 일자리 증가 효과 분석
- 트럼프 관세, 한국 철강 수출 영향 예상
- 트럼프 관세에 따른 글로벌 금융 시장 변동성
- 트럼프 관세, 美-중 기술 경쟁 심화 전망
- 알멕(354320) : 트럼프 관세 부과에서 자유로운 전기차 부품 전문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