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웨어러블 로봇 ‘봇핏’: 삼성의 운명을 건 도전, 레인보우로보틱스도 HBM도 아니다 사실, 위와같이 말하고 싶어 제목을 저렇게 지었지만, 너무 강한 어조로 보여 제목을 수정했습니다. 삼성에게는 신사업으로 분류되는 재활로봇, 또는 재활로봇의 B2C 접근이 어떤 의미를 갖는 것일까요? 만일 제가 이 프로젝트를 맡게 된 당사자라면.. 하 참 어렵고 부담되는 도전적인 일로 느껴졌을 텐데요. 당사자가 아닌 제 3자, 남남, (주주도 아닌) 제가 보기에는 복잡 미묘한 면이 느껴지는 녀석입니다. 그래도 한번 느낌을 알아보고자 아래와 같이 정리해 보았습니다. 1. 봇핏이 삼성전자에게 갖는 의미와 중요성 1) 미래 성장 동력으로서의 역할 삼성전자는 로봇 사업을 스마트폰, 반도체에 이은 차세대...
삼성전자에게 봇핏의 의미는?
삼성전자의 운명을 쥔 봇핏! 레인보우로보틱스, HBM 그 다음 테마?!
오늘 삼성전자의 레인보우로보틱스가 강하게 상승했죠. 한동안 로봇장이 지속될 것 같은데, 삼성전자만이 갖고있는 또다른 부분이 있어 조사해보았습니다. 그것은 바로 ‘봇핏’입니다. 사실, HBM, 레인보우로보틱스 등에 비하면 거의 언급이 없습니다. CES에서 보여주긴 했는데, 그리 반응이 강했던 것 같진 않습니다. 하지만, 제가 볼 땐 이 사업(또는 제품)은 삼성전자의 운명을 다시한번 바꿀 수 있는 샷이 될 것 같습니다. 1. 삼성전자 ‘봇핏’ 개요 정의: 삼성전자가 개발한 웨어러블 재활/헬스케어 로봇으로, 보행 보조 및 운동 효과 증대를 목적으로 함. 주요 기능 부스트 모드: 보행 시 힘을 보조하여 이동성 향상 (주 대상: 고령자·재활 환자). 아쿠아 모드: 저항을...
슈어소프트테크-자율주행SW와 SMR, 2가지를 모두 잡다
1. 회사명 및 종목코드 회사명: 슈어소프트테크 종목코드: 298830 2. 본 리서치 목표 슈어소프트테크의 주요 고객, 협업 현황, 특허 보유 현황, 사업 분야 및 글로벌 시장 전략을 분석하여 기업의 경쟁력과 성장 가능성을 서치하여 모아봤습니다. 중 장기로 진입 전, 필수적으로 확인해야 하는 사항입니다. (개인 기준) 이 외, 테마 상태, 차트, 시황을 함께 판단 해야겠습니다. (하지만 요즘은 바닥에 깔려 있다 생각하면 우선 물리면서 매수해봅니다.) 3. 주요 고객 및 협업 현황 주요 고객사 자동차: 현대자동차, 현대모비스, 현대케피코, 기아 에너지/원자력: 두산에너빌리티, 한국수력원자력, LS산전 국방/항공우주: 한화시스템, KAI(한국항공우주), 방위사업청 의료기기/로봇: LG전자, 삼성전자 협업...
GRT-국내 유일 단 1개의 DeepSeek 관련주?!
연휴 동안 DeepSeek가 참 말이 많습니다. 어제 NVIDIA도 반등이 나온것으로 보이는데, 기술적 반등 정도로만 봐야할까요? DeepSeek가 왜이리 난리였는지에 대해서는 아래 영상으로 압축하여 보시면 정리가 되실 것 같습니다. <‘DeepSeek가 무슨 행동을 했길래?!’> AI에 대한 장기적인, 거식적인 개인 관점은 잠시 치우고, 일단은 시간을 들여 관련되는 업체의 유무를 확인해 보았습니다. 결론적으로, 제 기준에는 맞지 않는 종목이긴 하지만 기록으로 남겨두려합니다. 나중에 시장이 어떻게 반응해 줄 지 돌아보고 싶기 때문입니다. 기대할 수 있는 부분은 GRT의 또 다른 자회사(중국)의 나스닥 상장으로 생각합니다만, 미국 중심으로 돌아가는 국내장에서 얼마나 이목을 끌 수...
GRT-미국도 긴장하게 만드는 DeepSeek, 그래서 관련주가 뭔데?
어제에 이어 오늘도 DeepSeek가 난리입니다. 이번에는 ‘야누스프로(Janus-Pro)’를 선보였는데요. 이는 OpenAI의 달리(DALL-E 3)와 같은 이미지 생성 모델입니다. 이렇게 여진이 계속되는 것으로 볼 때, 국내 주식시장에 반응이 올 수도 있을 것 같아 관련주를 찾아보았습니다. <DeepSeek의 야누스프로 벤치마크> 사실, 상식적으로 AI칩의 중국 수출이 금지가 된 상태고, 동맹국도 관련기술의 수출이 금지된 상태에서 뭐가 있을까 싶긴 했는데, 이번에도 뇌피셜을 돌려 적절한 종목을 찾아보았습니다. 그런데, 실제로 이미 이전에 많은 기사가 노출된 이력이 있네요. (당시 주식시장에서는 반응이 전혀 없었습니다만…) <’24년 4월 4일, 저날...
DeepSeek, AI 전쟁의 중심에 서다
자고 일어나니, 딥시크(DeepSeek)가 대규모 사이버 공격을 받았다는 내용이 확인됩니다. 이 공격으로 인해 신규 이용자 등록이 제한되었다고 하며, 기존 사용자들만 정상적으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것으로보이네요.(어제 잠깐 사용했는데, 나도 기존사용자일라나..?) 우선, 조금 궁금해서 조금 더 자세한 내용을 알아보았습니다. <NVIDIA: 치열한 전투의 흔적이 보이는 음봉과 꼬리, 그리고 거래량> 추가로, NVIDIA는 큰 폭락이 나왔는데요. (역시 자고일어나니) 이것이 누구에게는 좋은 기회가 될 수도 있어보입니다. 이렇게 된 이상, 미국은 더 강한 제재와 자본력, 반도체 기술, 동맹을 활용해 중국의 숨통을 조이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어디까지나 개인 뇌피셜이죠) 그러면, 아래 내용을 간단히...
딥시크, 미국 AI업계에 충격과 공포를 안겨준 혁신
SMR 관련업체를 알아보려던 참에, 놀라운 뉴스가 있어 내용을 좀 알아봤습니다. 중국의 AI기술 발전을 저해하기 위한 미국의 결단(수출통제 등)이 중국을 더 나은 혁신으로 등떠민 효과로 돌아온것 같습니다. 물론, 이제 시작인 이 전쟁의 승자를 속단하기는 어렵지만, 정말 놀라운 결과가 아닐 수 없습니다. <딥시크> <형태가 OpenAI-ChatGPT 등과 매우 닮았다.> 딥시크란 무엇인가? 누가 어떤 목적으로 만들었는가? 딥시크(DeepSeek)는 중국의 AI 스타트업이 개발한 AI 모델로, 2023년에 설립된 회사의 CEO인 Liang Wenfeng(량원펑)이 주도하고 있다. 이들은 원래 헤지펀드 High-Flyer 아래에서 활동했으나, 미국의 중국향 반도체 수출 제한 속에서도...
미 거물들이 바라보고 있는 한 점, SMR
미 거물들이 바라보고 있는 한 점 0. 빌 게이츠, 샘 알트먼, 도널드 트럼프, 그리고 일론 머스크가 주목하는 소형모듈원자로(SMR) 소형모듈원자로(SMR)는 기존 원자력 발전소보다 작고 효율적인 설계를 기반으로, 안전성과 친환경성을 동시에 제공하는 기술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특히 기후 변화 대응, 에너지 독립성 강화, 데이터 센터 전력 수요 충족 등의 분야에서 주목받으며, 미국의 주요 리더들이 이 기술에 투자하거나 긍정적으로 바라보고 있습니다. 아래는 각 인물이 SMR에 대해 보여준 관심과 활동입니다. 1. 빌 게이츠: 테라파워를 통해 SMR 개발에 선도적 역할 빌 게이츠는 2008년 SMR 기술 개발을 목표로 테라파워(TerraPower)를 설립했습니다. 테라파워는 기존 원자력 발전소의 한계를 극복하는...
트럼프와 머스크가 주목하는 차세대 에너지원, SMR의 모든 것
국내 주식이 트럼프에 의해 움직이고 있습니다. 국내 테마가 거의 힘을 쓰지 못하는 것 같습니다. 트럼프 및 미국 업체들 현황을 지속적으로 확인중이며, 이번에는 에너지 관련 사항, 그 중 SMR을 살짝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우리에게 중요한 것은 왜 어떤 경로로 부각받을 종목을 찾아내는 것이 중요한 것 아니겠습니까? 알아보겠습니다. 1. SMR이란 무엇인지? 소형모듈원자로(Small Modular Reactor, SMR)는 전기출력 300MWe 이하의 소형 원자로를 말합니다. SMR은 공장 제작형 모듈 기술을 이용해 제작되며, 글로벌 원전시장 개척을 위해 안전성, 경제성, 유연성이 향상된 혁신형 설계 및 핵심 기술 개발을 추진 중입니다[1][2][18]. 2. 왜 주목받는가? SMR은 다음과 같은 이유로...
LS머트리얼즈가 엮이는 테마는?
최근 LS그룹주들이 많은 부각을 받고 있습니다. 이전의 글에 이어, 이번에는 ‘특징주’ 내용을 바탕으로 부각 사유를 다루어 봅니다. 이 내용을 곧 관련 테마로 보면 될것 같습니다. 또다른 LS계열사 <LS ELECTRIC> 70,000대에서 약 4배까지 상승하였습니다. 시총 6.2조, 유통비율 50%, 무거운 회사가 이렇게 움직이네요. LS머트리얼즈의 최근 주식 부각은 AI 데이터센터(AIDC) 및 전력설비 시장의 성장과 관련된 호재가 주요 요인으로 작용했습니다. LS머트리얼즈의 부각 이유 1. AI 데이터센터(AIDC) 투자 증가 LS머트리얼즈는 AI 기술 확산에 따라 데이터센터 수요가 급증하면서 관련 전력설비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특히, AI 연산 작업이 빈번한 데이터센터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