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에 이어 오늘도 DeepSeek가 난리입니다. 이번에는 ‘야누스프로(Janus-Pro)’를 선보였는데요. 이는 OpenAI의 달리(DALL-E 3)와 같은 이미지 생성 모델입니다. 이렇게 여진이 계속되는 것으로 볼 때, 국내 주식시장에 반응이 올 수도 있을 것 같아 관련주를 찾아보았습니다.
<DeepSeek의 야누스프로 벤치마크>
사실, 상식적으로 AI칩의 중국 수출이 금지가 된 상태고, 동맹국도 관련기술의 수출이 금지된 상태에서 뭐가 있을까 싶긴 했는데, 이번에도 뇌피셜을 돌려 적절한 종목을 찾아보았습니다. 그런데, 실제로 이미 이전에 많은 기사가 노출된 이력이 있네요. (당시 주식시장에서는 반응이 전혀 없었습니다만…)
<’24년 4월 4일, 저날 GRT는 매우 조용했다.>
1. 중국 AI 서버 제조업체의 시장 점유율 추이
중국은 AI 서버 시장에서 세계적으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주요 제조업체의 점유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 Inspur(낭조정보): 중국 AI 서버 시장에서 50% 이상의 점유율을 차지하며 압도적인 1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 Huawei: 약 20%의 점유율로 Inspur 다음으로 큰 시장 점유율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 Lenovo 및 기타 업체: Lenovo는 약 7%의 점유율을 기록하며, H3C 등 다른 제조업체들도 시장에서 경쟁 중입니다.
중국 정부의 AI 발전 정책과 데이터 센터 확장 계획이 이러한 시장 성장을 지원하고 있으며, AI 서버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2. Inspur가 딥시크(DeepSeek)에 서버를 납품했을 가능성이 높은 이유
딥시크는 NVIDIA의 H800 칩을 사용하여 AI 모델을 개발했으며, 이는 Inspur와의 협력 가능성을 높이는 주요 요인입니다:
- 시장 점유율: Inspur는 중국 내 최대 서버 공급업체로, 딥시크와 같은 대규모 AI 프로젝트에 필요한 서버를 공급할 가능성이 가장 높습니다.
- NVIDIA 칩 사용: 딥시크는 NVIDIA H800 칩을 사용했으며, Inspur는 NVIDIA와 오랜 협력 관계를 통해 H800 칩 기반 서버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 AI 클러스터 제공: Inspur는 딥시크에 NVIDIA H800 기반 AI 서버 클러스터를 제공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3. NVIDIA와 Inspur의 협력 관계
Inspur와 NVIDIA는 오랜 협력 관계를 유지하며, 다음과 같은 주요 특징이 있습니다:
- 협력 시작 시점: 2017년부터 협력 관계가 본격화되었으며, Inspur는 NVIDIA HGX 플랫폼을 채택한 최초의 중국 업체 중 하나였습니다.
- 협력 형태: Inspur는 NVIDIA의 A100, H100, H800 등 최신 GPU를 지원하는 AI 서버를 개발 및 판매하며, NVIDIA 인증 시스템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 파트너십 강화: Inspur는 NVIDIA와 함께 AIStation 플랫폼을 개발하여 AI 컴퓨팅 자원의 효율적 관리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4. Inspur와 딥시크 간 연계 가능성 및 증명
딥시크와 Inspur 간 연계 가능성은 다음과 같은 이유로 매우 높습니다:
- H800 칩 기반 서버 사용: 딥시크가 사용한 H800 칩은 Inspur가 주로 판매하는 제품으로, 딥시크가 해당 서버를 구매했을 가능성이 큽니다.
- 시장 지배력: Inspur는 중국 내 최대 AI 서버 공급업체로, 딥시크와 같은 대규모 프로젝트에 적합한 인프라를 제공합니다.
- 공식 발표: Inspur가 딥시크에 AI 클러스터를 제공했다는 구체적인 보도가 존재합니다.
5. 국내 상장사 중 Inspur(낭조정보)와 관계된 회사
국내 상장사 중 Inspur와 직접적인 관계를 가진 회사는 GRT입니다. GRT는 코스닥에 상장된 기업으로, Inspur에 서버 제조용 자재를 납품하고 있습니다.
6. GRT의 사업 개요 및 Inspur와의 관계
GRT는 현재 확인된 바로는 국내 상장사 중 유일하게 Inspur와 직접적인 납품 계약을 체결한 회사입니다:
- 사업 개요:
- GRT는 홍콩에 본사를 둔 기업으로, 코스닥에 상장되어 있습니다.
- 주요 사업은 고분자 박막 소재 및 광학 보호 필름 제조이며, 최근에는 열전도 소재 등을 납품하며 IT 및 전자 산업으로 사업 영역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 Inspur와 계약:
- GRT는 2024년 3월, 약 167억 원 규모의 계약을 통해 Inspur에 열전도 소재(서멀패드 등)를 납품했습니다.
7. GRT와 Inspur 간 납품 계약 관련 기사 출처 리스트
다음은 GRT와 Inspur 간 계약 관련 기사 출처 목록입니다:
- 인더뉴스: GRT, 중국 AI 서버 메이저사와 9000만위안 규모 공급 계약
- Daum: GRT, AI 서버업체 ‘낭조정보’ 수주 확보
- 딜사이트: GRT, 中 AI서버업체 낭조정보서 수주 확보
- 뉴시스: GRT, AI 서버 업체 ‘낭조정보’향 수주 확보
- 뉴스핌: GRT, AI서버업체 ‘낭조정보’ 수주 확보…”AI시장서 경쟁력 앞세워 선점할 것”
- 이데일리: GRT, 중국 AI 서버 업체 ‘낭조정보’향 수주 확보
나의 결론
딥시크(DeepSeek)의 H800 칩 기반 모델 개발이 사실이라는 가정 하, 국내 상장사 중 ‘GRT(900290)’가 가장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이는 GRT가 Inspur에 열전도 소재를 납품한 사실과 중국 내 시장 상황을 고려할 때, 그리고 현재 시장에 통용되는 정보를 바탕으로 추론해볼 때 충분히 연계성이 있다고 판단합니다. (사실이 어떠한지는 대중과 그 광기, 심리로 움직이는 시장에 큰 영향이 없다는 가정하에 단기매매 방식에 접근합니다.)
딥시크의 성공은 중국 AI 서버 시장의 성장과 NVIDIA와의 협력 관계를 통해 가능했으며, 이는 Inspur가 중국 내에서 가장 큰 서버 공급업체로서의 입지를 강화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홍콩회사인 GRT는 Inspur와의 협력을 통해 국내 상장사 중 유일하게 AI 서버 제조에 필요한 자재를 납품한다는 연계성을 갖고 있으며, 이는 DeepSeek관련주로서 시장에 부각되는 사유가 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물론, 매매 여부는 별개입니다.)